_대문 | 방명록 | 최근글 | 홈피소개 | 주인놈 |
FrontPage › Philosophy
|
|
데이터를 다루는 사람들이라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반드시 '모델링'이란 행위를 하게 되어 있다. logical modeling은 이론이 있다. 그래서 괜찮다. 하지만 conceptual modeling은 데이터베이스 책에 그 이론이 소개 되지 않고 있다. 왜냐하면 그 부분은 형이상학적 주제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데이터를 다루는 사람들은 철학 공부를 해야 한다. '모델링'의 결과물은 '모델'이다. 모델이 힘을 가지려면 이론이 바탕이 되면 된다. 플라톤의 이론이건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이건 상관 없다. 실재론이건 유명론이건 상관 없다. 단지, 모델의 바탕이 되는 이론이 필요할 뿐이다.
[edit]
4 참고자료 #
3인칭 ->> 객관(디자인된 클래스를 사용), 1인칭 주관(클래스 디자인 할 때) ![]()
|
과거를 아프게 들여다보지 말라. 그것은 다시 오지 않는다. 현재를 슬기롭게 이용하라. 그것은 그대의 것이다. 힘찬 기상으로 두려워말고 나아가 무지개를 맞으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