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blog.daum.net/khtseo/17438158
이 세상 사람들을 두 부류로 나눌 때 output 중심으로 사고하는 사람과
outcome 중심으로 사고하는 사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Output은 ‘입력(input)에 대한 출력(output)'이란 뜻입니다.
일은 하루에 8시간 한 것, 선생님이 아동을 열심히 가르친 것, 공부를 3시간 한 것,
고아원을 방문하여 함께 사진도 찍고 선물을 전달한 것 ...그런 행위는 모두 output의 예입니다.
하지만 이런 행위들에 대한 outcome은 output이 갖는 의미, 영향, 성과를 말합니다.
즉, 8시간 일해서 어떤 바람직한 성과를 내었는지, 열심히 가르친 결과 아이들 모두가 즐겁게
참가하고, 새롭게 알게 된 것이 많은지, 3시간 공부해서 어떤 교육적 효과가 있었는지,
선물을 전달한 결과 그것이 어떤 좋은 영향을 주었는지 등을 말합니다.
‘전시행정’이란 말이 있지요. 이는 전형적인 output 중심의 사고입니다.
output 중심 사고는 개인이나 조직이나 3류에 머무는 접근입니다.
조직, 개인 모두 outcome 중심의 사고를 할 수 있으면 지금보다 훨씬 더 발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