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1 품질기능전개의 4단계
2 품질의 집(House Of Quality)
3 구성요소
4 품질표
5 품질기능전개의 의미
6 품질기능전개 효과
7 품질기능전개의 한계
8 품질기능전개 촉진


1 품질기능전개의 4단계 #

  1. 제품설계
  2. 부품개발
  3. 과정(process)단계
  4. 생산단계

2 품질의 집(House Of Quality) #

  • 품질 기능 전개를 위한 고객의 요구를 전달하기 위한 도구
  • 고객의 요구와 그에 대응되는 생산기술상의 특성을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한 것
  • 고객의 중요 요구와 그것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제품의 어떤 성능을 개선해야 하며, 그 성능에 대응하는 생산기술이 무엇인가를 일목요연하게 정리
  • 품질의 집을 통한 고객의 요구를 반영하는 작업의 반복시행으로 고객의 요구가 반영되고 생산기법의 개량으로 결국 품질 향상
  •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고객관점, 기술관점, 외부관점(경쟁사)으로 다각도에서 살펴봄으로써 개선되어야 할 점과 경쟁우위에 있는 부분이 어떤 부분인지 파악한다.

3 구성요소 #

  • 고객요구사항(CA; Customer Attirbute)
    • 품질의 집 왼쪽에 위치
    • 고객의 소리(VOC; Voice of the Customer)라고도 함.
    • '성능이 좋으며, 안전하며, 유지비가 적게드는'과 같은 고객의 언어 -> 정성적, 모호함
    • 대상 고객집단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
    • 설계단계의 상충관계 발생과 해결을 위한 근거가 되는 고객의 요구사항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도 고객의 견해에 따라 결정됨
    • 품질기능전개의 전체 노력 중 50%가 고객집단규정과 요구사항을 추출하느데 소요됨
  • 설계변수(EC; Enggineering characteristic)
    • 품질의 집 상편에 위치
    • 하나 이상의 CA에 영향을 미치는 공학적 속성
    • 설계자에 의해 결정될수 있는 변수들
    • '성능이 좋으며, 안전하며, 유지비가 적게드는'은 '엔진의 출력, 차체의 중량, 연비'로 변경
  • CA와 EC의 관계
    • 품질의 집 몸체부분(CA와 EC의 교차)
    • 교차되는 부분에 상관관계가 있으면 연관관계의 강도(강, 중, 약.. 일반적으로 각각 9, 3, 1의 점수를 매김)를 나타냄
  • EC간의 상호 연관관계
    • 품질의 집 지붕부분
    • '차체의 중량'을 증가시키면 '연비'가 저하된다와 같은 관계
    • 강한 양의 상관관계, 보통 양의 상관관계, 상관관계 없음, 보통 음의 상광관계, 강한 양의 상관관계
  • 고객인식 비교
    • 품질의 집 오픈편
    • 자사제품 및 경쟁사의 제품에 대한 비교
    • 설계자의 판단이 아닌 고객들의 판단
    • 1 ~ 5의 척도로 표현
  • 현재 EC수준 비교
    • 품질의 집 몸체 행렬의 바로 밑
    • 자사 제품 및 주요 경재자자 제품의 현재 EC수준들이 기록됨
    • 경쟁자 제품을 구매 또는 서비스의 경험을 통해 실제 EC 수준들이 기록됨
  • 목표 EC수준
    • 품질의 집의 현재 EC수준 비교 바로 밑(가장 밑)
    • 제품이 고객의 요구사항을 가장 잘 만족시키도록 목표 EC수준들을 정함
    • '엔진의 출력=X마력, 차체의 중략=Ykg, 연비=ZKm/l'와 같이
  • 선택적(Option) 항목

4 품질표 #

quality_metrix.jpg

5 품질기능전개의 의미 #

  • 가치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프로세스.
    • 고객만족을 이루는 관점에서 제품을 설계
    • 여러 부서가 참여하면 숨겨진 노하우를 공유하며, 균형 있게 고려
  • 역할
    • 개발부 인원이 고객의 진정한 요구사항에 대해서 옯른 관점을 유지하고 고객의 요구를 잘못 해석하는 것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
    • 부서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 품질 계획을 세울 때의 유용한 도구
  • 경쟁자 측면을 봄. 보다 더 고객중심적인 경영으로 고객만족 달성
  • 결국, 조직 내 전 부문의 참여를 유도시켜 단기적으로는 제품의 각종 효과 향상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프로세스 성과까지도 향상시킬 수 있다.
  • 제품과 서비스에 적용 후
    • 설계변경의 감소
    • 개발시간 단축
    • 원가절감
    • 고객만족, 시장점유율 향상
    • 조직 내의 의사소통 원활화
    • 미래의 제품과 서비스 설계를 위한 자료원으로서의 역할

6 품질기능전개 효과 #

  • 소비자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
  • 설계변경의 감소
  • 개발 컨셉트의 알관성 확인
  • 시운전시의 문제점 감소
  • 개발기간 단축
  • 설계과정의 문서화
  • 하자 발생 감소 및 품질보증비용 감소
  • 기능 부서간의 팀워크 향상
  • 경쟁사와의 벤치마킹 가능
  • 고객만족도 향상

7 품질기능전개의 한계 #

  • 품질 차트(품질의 집)가 너무 크다
  • 범주를 정하는데에 있어서의 어려움
  • 고객요구와 품질특성 사이의 상호관계를 결정하기 어렵다
  • 몇몇 요구 품질항목의 적절성을 판단할 수 없다
  • 판단에 있어서의 객관성이 결여될 수 있다
  • 기존의 개발방법에 비해서 초기에 많은 시간과 초기 투자를 요구하기 때문에 자포자기하는 수가 있다

8 품질기능전개 촉진 #

  • 경영층의 승인
  • 분명한 목적과 범위. 가능한 처음부터 크고 복잡한 프로젝트의 사용을 피하라
  • 다기능팀 구성. 팀원의 적당한 시간 확보
  • 방법론을 습득하고 초기 노력을 지도할 촉진제를 이용하기 위해 실질적이고 손쉬운 연습으로 훈련
  • 효과적인 계획과 의사결정을 흐리게 하는 개발인정의 파괴를 피하고 초점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정기적인 모임을 계획
  • 완벽한 자료를 얻으려하지 마라. 품질기능전개를 시작ㅎ기 전에 고객의 소리를 모으는 데 더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 필요. 팀의 구성원이 고객보다 더 잘 알고 있으라는 믿음과 기술적인 오만함을 피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