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서의 기술(한국교양기초교육원, 이진남) KOCW 강의 요약(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732270&knl=150325)
독서의 기술 - 쓰면서 생각한다.
독서의 목적
- 이해를 위한 독서
* 저자가 독자보다 수준이 높다.
* 독자는 수준차를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 정보를 얻기 위한 독서
* 필요한 정보를 취한다.
비판적 읽기
- 읽기:
* 책과 대화함.
* 일종의 교육의 효과
- 생각하며 읽고, 읽으며 생각하다.
독서의 4가지 수준
- 기초적 읽기
- 살펴 보기(대충보기)
- 분석하며 읽기(철저하게, 꼼꼼하게, 완벽하게))
- 통합적 읽기(비교, 비판)
살펴보기
- 미리 들여다 보기
* 겉표지(앞/뒷면의 제목, 추천사 등)
* 목차
* 머리말
- 대충 훑어보기(액기스 골라내기)
(어려운 부분은 과감히 넘어가라)
능동적 읽기
- 전반적으로 무엇에 관한 글인가?
- 무엇을, 어떻게 자세히 다루나?
- 전반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맞는 글인가?
- 의의는 뭔가?
독서카드 작성(메모)
- 디지털화된 문서로 작성
- 내용: 책의 종류, 결론과 전제(주장과 근거), 비판 혹은 감상, 인용할 구정
- 결론과 전제(주장과 근거)이 가장 중요
분석적 읽기
- 주장과 근거(So What? / Why? & How?)
- 결론과 전제(So What? / Why? & How?)
원칙
- 01원칙: 어떤 부류의 책인지 미리 파악하라.
- 02원칙: 통일성(책 전체를 꿰뚫는 일관된 흐름)을 간단한 문장으로 이야기 해보라.
- 03원칙: 주요 부분을 찾아 그 부분이 어떤 순서에 의해 전체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파악하라.
- 04원칙: 저자가 풀고 싶어 하는 문제를 찾아내라.
- 05원칙: 중요한 단어를 찾아 저자가 어떤 용어로 사용하고 있는지 파악하라.
- 06원칙: 가장 중요한 문자에 주목하라. 그리고 그 안에 담겨진 명제를 찾아라.
- 07원칙: 문장과 연관 속에서 기본적인 논증을 찾거나 만들라.
- 08원칙: 저자의 해답이 무엇인지 찾아라.
- 09원칙: 의견이 같고나 다르가 표명하거나 판단을 보류하기 전에 확실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 10원칙: 찬성하지 않을 경우, 트립을 잡거나 따지려는 것처럼 하지 말고 조리있게 비판하라.
- 11원칙: 어떤 비평을 하든 지식의 차원에서 하는 비평인지, 개인적인 견해를 이야기 하는 것인지 명확하게 구분하고, 그 비평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라.
- 12원칙: 저자가 잘 알지 못하는 부분을 제시한다.
- 13원칙: 저자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을 제시한다.
- 14원칙: 저자가 논리적이지 못한 부분을 제시한다.
- 15원칙: 저자가 분석한 내용이나 설명이 불완전한 부분을 제시한다.
통합적 읽기
- 중세의 수업 종료
* 강독: 원전을 함께 읽고 토론
* 문제: 질의와 응답(학생이 질문하고 교수가 대답)
* 토론: 문제를 제기하고 토론을 통해 해결(문제를 교수가 제시하고 학생들이 토론)
- summa 양식의 절 구성
* 물음(예 또는 아니오로 명확히 대답함)
* 대론
* 반론(유명한 문서들의 인용, 이 부분이 요즘엔 빠져있다. 중요한 부분)
* 본론
* 대답
- 저자에게 찬성/반대하기
* 토론할 때는 감정적일 수 있음
* 독자 자신의 관점을 분명히
* 공편하게 생각하려는 노력
- 비평 방법
* 그 정도 아는 것으로 부족하다.
* 잘못 알고 있다.
* 논리적이지 않아 설득력이 부족하다.
* 완전하지 않으니 좀 더 분석해라.
- 비판의 핵심 기술
* 개념 규정의 점검
* 개연성과 필연성
* 흑백 논리의 오류
* 인과 관계의 오류
* 숨은 전제 찾기와 비판
* 벤 다이어그림과 반례 제시
통합적 읽기 5단계
- 관련된 문단을 찾으라
- 모든 저자에 통용될 중립적인 용어를 설정하라
- 질문을 만들어 순서를 매기라
- 쟁점을 파악하고 구성하라
- 논의되고 있는 내용을 분석하라
결론
- 책의 종류에 따라 수준과 방법을 융통성 있게 변화
- 살펴보기, 분석하며 읽기, 통합적 읽기(숲과 나무를 동시에 번갈아 보며, 살펴보기는 반드시)
- 끊임없이 문도 대답(So What? Why? How?)
- 메모와 독서카드를 작성하며 읽는다.